June 7, 2023

‘개구리소년 실종·암매장 사건’과 관련해 정말 충격적인 주장이 나왔다

대구 개구리소년 실종·암매장 사건

당시 수사 경찰 “저체온증 사망” 주장

/ 온라인 커뮤니티

1991년 3월 26일 대구 달서구에 사는 우철원(당시 13세), 조호연(당시 12세), 김영규(당시 11세), 박찬인(당시 10세), 김종식(당시 9세)군이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 근처 와룡산으로 향했다가 실종됐다. 이들 5명은 11년 뒤인 2002년 9월 26일 와룡산 중턱에서 모두 유골로 발견됐다.

다섯 아이 가운데 세 명의 두개골에서 손상 등 흔적이 발견됐고, 당시 경북대 법의학팀이 유골 감정을 통해 ‘예리한 물건 등에 의한 타살’로 결론을 내렸지만, 범인을 잡지 못했다. 이후 2006년 공소시효가 만료되면서, 사건 발생 31년이 지난 현재까지 미제 사건으로 남아 있다.

아이들이 실종됐을 당시 현장 취재기자였던 김재산 국민일보 대구경북본부장이 그동안의 취재기록을 책으로 펴냈다. 당시 수사 실무를 책임졌던 김영규 전 대구경찰청 강력과장 등을 심층 취재한 내용을 담았다.

1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책에 담긴 김 본부장의 주장이 소개됐다.

김 전 강력과장은 두개골 손상이 사후에 생겼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타살 흔적이 아니라 사망 후 유골이 발견될 때까지 11년 동안 홍수 등으로 밀려온 돌에 찍힌 사후 골절흔이라는 것이다.

김 전 강력과장은 해가 져 어둑어둑한 와룡산에서 비까지 맞은 아이들이 저체온증으로 죽은 것이라 주장한다.

2021년 3월 26일 '개구리소년 추모 및 어린이 안전 기원비' 제막식에서 우철원(당시 13세)군의 아버지 우종우씨가 30년을 간직한 아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실종 전 가을운동회에서 밀가루 속 사탕찾기 게임을 마친 아들 철원이가 얼굴에 밀가루를 묻힌 채 해맑게 웃고 있다. / 뉴스1

이같은 주장에 유족 측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CBS 라디오에 따르면 나주봉 전국미아·실종가족찾기시민의모임회장은 “터무니없는 이야기다. 와룡산은 아이들이 늘 다니던 곳이다. 해발고도 300m 정도에 불과해 깊은 산이 아니다. 저체온증으로 죽었다는 건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2019년 당시 민갑룡 경찰청장은 개구리소년 추모제에 참석해 “사건을 원점에서 재수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찰의 DNA 분석을 통해 영구 미제 사건으로 여겨졌던 화성 연쇄 살인사건의 유력 용의자로 이춘재가 특정됐던 때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경찰 수사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지난달 22일에 김영규 군의 아버지인 김현도 씨가 뇌경색으로 요양병원에서 투병 생활을 이어오다 병세가 악화돼 별세했다. 향년 79세.

2022년 3월 28일 오전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선원공원 개구리소년 추모 및 어린이 안전 기원비 앞에서 열린 '개구리소년 31주기 추모제'에 참석한 유족대표 우종우(우철원 군 아버지)씨가 추모비를 어루만지고 있다. / 뉴스1

민갑룡 전 경찰청장이 재임 때인 2019년 9월 20일 오후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세방골 개구리소년 유골 발견 현장을 찾아 희생자를 추모하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개구리소년 실종 암매장 사건은 1991년 3월26일 대구 달서구 성서초교에 다니던 우철원(당시 13세·6학년·1979년생) 군 등 5명의 어린이가 도롱뇽알을 찾으러 집 뒤편 와룡산에 올라갔다 실종된 사건이다. 이후 실종 11년 6개월 만인 2002년 9월26일 와룡산 세방골에서 모두 백골로 발견됐다.

개구리

타살

미제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